이민법원 기소 건수 역대급 최저치
이민법원 기소 건수 역대급 최저치
지난 회계연도 불법 입국 기소 267건
총 기소건수 2만건 이하로 전년의 25%
지난 회계연도 이민법원 기소 건수가 기록적인 수준의 최저치를 나타냈다.
시라큐스대 산하 업무기록평가정보센터(TRAC)가 지난 1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, 2020~2021회계연도에 불법 입국(Unlawful Entry)으로 기소된 이민자는 총 267명으로 집계됐다. 이는 지난 1986년 이에 대한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저 수준이다.
같은 기간동안 이민법원의 전체 기소 건수는 총 1만9520건을 기록했는데, 이는 이전 회계연도의 4분의 1이 채 못되는 수준이다.
불법 입국, 불법 재입국, 은닉으로 인한 이민법원의 기소 건수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 급감했다.
불법 입국으로 인한 기소 건수는 2020년 3월 이전까지 월 평균 3000건 이상을 기록했지만, 같은해 4월 이후 월 평균 30건 이하로 10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. 이런 추세는 지난 회계연도 내내 이어져 2020년 10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총 기소 건수가 267건을 기록했다.
불법 재입국(Unlawful Reentry) 기소의 경우 그 양상이 상이한데, 2021년 9월 불법 입국 기소가 24건을 기록한 데 반해 불법 재입국 기소는 2067건으로 불법 입국에 비해 40배가 넘었다.
불법 재입국의 경우 2020년 3월 3036건에서 같은해 4월 324건으로 팬데믹 후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. 하지만 같은해 하반기부터 다시 월 1000건 수준으로 증가해 이번 회계연도에 총 1만3770건을 기록했다.
은닉 기소(Harboring)는 팬데믹 이전 월 400건 수준에서 2020년 4월 92건으로, 역시 팬데믹 이후 감소했지만 곧 회복해서 이후 월 400건 내외를 유지했다. 이번 회계연도 은닉 기소 건수는 총 5483건으로 집계됐다.
TRAC 측은 이같은 기소 건수의 감소에 대해서 실제 국경을 넘어오는 밀입국자의 수보다는 국경정책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.
장은주 기자 chang.eunju@koreadailyny.com
Number | Title | Author | Date | Votes | Views |
Notice | 전미 원격업무 안내 및 온라인 화상 대면상담 안내 admin | 2020.10.22 | Votes 0 | Views 678 | admin | 2020.10.22 | 0 | 678 |
134 | 취업 3순위 비숙련 문호 후퇴 admin | 2022.05.16 | Votes 0 | Views 16 | admin | 2022.05.16 | 0 | 16 |
133 | 노동허가 갱신 신청자에 대해 노동허가증(EAD)을 최대 540일까지 자동연장 조치 admin | 2022.05.16 | Votes 0 | Views 16 | admin | 2022.05.16 | 0 | 16 |
132 | 가족이민 영주권 전순위 동결 admin | 2022.05.16 | Votes 0 | Views 14 | admin | 2022.05.16 | 0 | 14 |
131 | DACA 갱신 온라인 신청 허용 admin | 2022.05.16 | Votes 0 | Views 14 | admin | 2022.05.16 | 0 | 14 |
130 | 이주 노동자 감소로 미국 노동력 부족 가중 admin | 2022.04.09 | Votes 0 | Views 75 | admin | 2022.04.09 | 0 | 75 |
129 | 지난 회계연도 한국인 영주권 취득 1만2236건 admin | 2022.04.09 | Votes 0 | Views 53 | admin | 2022.04.09 | 0 | 53 |
128 | 민주당과 공화당의 연방상원의원들이 초당적 이민개혁법안을 만들기 위한 논의를 재개한다. admin | 2022.04.09 | Votes 0 | Views 58 | admin | 2022.04.09 | 0 | 58 |
127 | 한국 복수국적 55세 이상으로 추진 admin | 2022.04.09 | Votes 0 | Views 55 | admin | 2022.04.09 | 0 | 55 |
126 | 노동허가 승인 지연으로 어쩔 수 없이 일을 쉬어야 하는 등 이민자들의 피해가 속출 admin | 2022.03.27 | Votes 0 | Views 63 | admin | 2022.03.27 | 0 | 63 |
125 | E·L비자 배우자 바로 일할 수 있다 admin | 2022.03.26 | Votes 0 | Views 40 | admin | 2022.03.26 | 0 | 40 |